잡학 내용(기타 등등)
-
청국장과 타타르 스테이크의 의외의 공통점잡학 내용(기타 등등) 2022. 6. 15. 08:29
한민족 고유의 발효식품인 청국장은 흔히 삶은 콩에다가 배양균을 붙여서 옹기 속에다 넣어 발효시켜 먹는 것으로 알려왔지만 삼국시대의 고구려에서는 삶아둔 콩을 말안장 밑에 넣어두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삶은 콩을 말안장 밑에 넣어두면 말을 타고 이동하면 말 자체의 체온과 기마병의 체중으로 인한 마찰열로 인해 말안장 밑의 콩은 약 40~45°c 정도의 온도에서 발효이 진행되어 청국장으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그리고 말안장 속에 넣어두는 음식이 또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타타르 스테이크입니다. 현재에는 생고기를 다지거나 갈아서 만든 냉채 형태의 유럽 요리이지만 원조는 몽골의 유목민이 다진 고기에 약간의 조미료를 첨가해서 말안장에 넣어두어 장시간의 이동 중에 말 자체의 체온과 기마병의 체중으로 인해 발생한 마찰열로 ..
-
어고선(魚尻線) : 현대 이전 일본의 해산물 내륙 반입 한계선잡학 내용(기타 등등) 2021. 10. 14. 15:36
魚尻線(어고선)은 철도 등의 운송수단이나 냉동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에 바닷물고기 등의 해산물을 썩지 않고 내륙으로 운송할 수 있는 한계선을 뜻하는 일본의 용어입니다. 이는 일본인이 생선회를 즐겨먹기 위해 부패하지 않고 내륙으로 반입해 왔던 노력이 보입니다. 魚尻線은 일본어 발음으로 "우오시리센(うおしりせん)" 이라고 합니다. 연보라색 줄선 : 사계절 내내 반입할 수 있는 범위 하늘색 점선 : 더운 시기(여름) 이외에 반입할 수 있는 범위 혼슈 지역 내의 어고선(魚尻線) - 植月 学:水の風土記 人ネットワーク│ミツカン 水の文化センター (mizu.gr.jp)
-
일본 재래의 수학 체계, 와산(和算, わさん)잡학 내용(기타 등등) 2021. 10. 2. 20:17
중국 고대의 셈법을 기초로 해서, 에도( 江戸, えど ) 시대에 일본에서 발달한 수학 체계를 와산(和算, わさん)이라고 칭합니다. 에도 시대의 일본에서는 수학문제를 팻말에 새겨 신사에 기도문을 올리는 풍습이 성횡했을 정도라고 합니다. 그러나 서양과의 통교로 인해 서양의 수학체계를 받아들이면서 쇠퇴해졌다고 합니다. 와산(和算) 문제를 새긴 팻말 - 美濃・飛騨の国の和算の歴史 (sakura.ne.jp) 美濃・飛騨の国の和算の歴史 美濃・飛騨の国の和算の歴史 hamaguri.sakura.ne.jp
-
앙클룽의 8음(동물과 새를 상징하는 음계)잡학 내용(기타 등등) 2021. 9. 10. 15:42
다엥 소에티냐(Daeng Soetigna)는 앙클룽(Angklung)이라는 인도네시아의 대나무 악기에 '도레미파솔라시도'를 적용하면서 여기에 동물과 새를 상징하는 음계를 활용해서 아이들이 배우게 쉽게 만들어 놨습니다. 음계 - 동물 종류( 순다어, 인도네시아어 ) 도(do) - 물고기( Lauk , ikan ) 레(re) - 오리( Bebek, Bebek ) 미(mi) - 닭( Hayam, Ayam ) 파(fa) - 고양이( Ucing, Kucing) 솔(sol) - 쥐( Beurit, Tikus ) 라(la) - 잠자리( Capung, Capung ) 시(si) - 참새( Sparrow, Burung gereja ) 도(do) - 독수리( garuda, Burung rajawali ) 인도네시아_ 천상..
-
중국 본고장 의 모란연채잡학 내용(기타 등등) 2021. 9. 3. 17:03
중국 요리 중에서 특히 뤄양(낙양, 洛陽)에는 무를 주재료로 삼아서 모란꽃을 연상케 하는 모란연채(牡丹燕菜)라는 요리가 존재합니다. 수석(水席) 요리라고 칭해집니다. 그 이유는 뤄양을 포함한 중국 내륙 지방은 건조 기후대에 존재합니다. 그런 탓에 수분을 보충하면서 미세먼지를 제거해 주는 국물 요리가 발달했다고 그렇게 생각됩니다. 아래 사진이 중국 본고장의 모습입니다. 뤄양은 모란꽃으로 유명한 지역으로 이러한 지역적 특징도 가미되었다고 봅니다. 洛阳水席头道名菜“牡丹燕菜”,取材萝卜,却形似牡丹,味如燕窝_网易订阅 (163.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