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몽골어의 г (гэ)언어 관련 잡학지식 2021. 6. 7. 15:27
'몽골'이라고 표기된 키릴 문자 몽골식 키릴 문자 중에서 г (гэ)는 뒤에 따르는 모음에 따라 자음이 변하게 됩니다.
남성 모음의 경우)
г + а, о, у 자음 : 연구개음 /g/
여성모음의 경우)
г + э ө ү 자음 : 유성 구개수 파열음 /G/
유성 구개수 파열음(Uvular stop)는 조음 방향이 중설음에 속하고 아랍어의 غ(gh),
페르시아어의 غ (Gh), 카자흐어의 қ 등이 대표적이다.
조음 방법이 혓바닥을 목젓과 접촉한 상태에서 빵 터트리는 방법으로 기류를 내보내면 된다.
참고로 무성 구개수 파열음은 /q/
<참조 자료>
구개수음-나무위키
페르시아 문자-나무위키
아랍 문자-나무위키
몽고어 기초단어집 - 저자: 유정목 편 출판: 명지 출판사 1996. 1.1
<이미지 출처>
'언어 관련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와힐리어 속의 아랍계 차용 음운 (0) 2021.09.01 티베트 의학(Tibetan medicine)의 티베트어 명칭 (0) 2021.06.11 몰디브 피쉬와 디베히어(Dhivehi) (0) 2021.06.03 우크라이나어의 г (ㅎ)와 ґ(ㄱ) (0) 2021.05.31 히말라야 전설 속의 설인(雪人) 예티(Yeti) (0) 2021.05.31